여행요리사, Hidden-source

2025년 근로장려금, 꼼꼼하게 알아보고 혜택 챙기세요!

재테크소스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2025년 근로장려금에 대해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근로장려금은 열심히 일하시는 저소득 가구를 위해 국가에서 지원하는 소중한 혜택인데요, 신청 방법부터 지급액까지 꼼꼼히 알려드릴 테니 놓치지 마세요!

 

 

근로장려금, 어떤 제도인가요?

근로장려금은 성실하게 일하지만 소득이 적어 생활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마련된 지원금입니다. 힘든 경제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열심히 생활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하는 마음에서 시작되었답니다.

 

언제, 어떻게 신청해야 하나요?

상반기 소득분: 

  • 신청 기간: 2024년 9월 1일 ~ 9월 19일
  • 지급 시기: 2024년 12월 말

하반기 소득분:

  • 신청 기간: 2025년 3월 3일 ~ 3월 17일
  • 지급 시기: 2025년 6월 말 (정산 후 지급)

정기 신청:

  • 신청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지급 시기: 2025년 9월 말

 

신청은 어렵지 않아요!

  • ARS 전화 (1544-9944) - [1](정기신청시 해당, 반기신청시 생략)과 주민등록번호 13자리를 눌러 신청을 선택한 후, 신청안내문(문자메시지)에 기재된 개별인증번호(8자리)를 입력*하고 안내에 따라 신청
    국세청에 등록된 본인 연락처로 연락한 경우에는 개별인증번호 생략가능
  • 인터넷 신청 -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에 접속하여 신청

  • (서면 안내문) 안내문에 삽입된 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스캔하여 신청, (모바일안내문) 국민비서, 네이버 전자문서, KT 알림문자를 통해 안내문을 받은 경우 모바일 안내문에서 바로 신청 가능, 개별인증번호 자동입력되어 로그인없이 주민번호로 신청가능
  • 신청 대리 (평일 9시 ~ 18시, 토/일/공휴일 제외)
    안내대상자가 동의하면 신청기간 운영되는 장려금 상담센터(1566-3636) 상담사나 세무서 직원이 신청대리
  • 자동신청 제도: 신청안내 대상자가 장려금 신청기간에 자동신청에 사전 동의하면 향후 2년간 안내대상에 선정될 경우 장려금이 자동으로 신청됩니다.

편하신 방법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가구 구성에 따라 최대 300만 원까지 지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

  • 근로 소득, 사업 소득, 종교인 소득이 있는 가구
  • 가구 구성, 소득, 재산 요건 충족
  • 단독 가구: 총 소득 2,200만 원 미만
  • 홑벌이 가구: 총 소득 3,200만 원 미만
  • 맞벌이 가구: 총 소득 4,400만 원 미만

더 자세한 정보는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https://www.nts.go.kr/english/main.do
근로장려금은 여러분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잊지 말고 꼭 신청하셔서 따뜻한 혜택 누리세요!

반응형

주식 투자, 똑똑하게 시작하기: 필수 차트 용어 완벽 정리!

재테크소스
반응형

 

주식 투자를 시작하셨나요? 아니면 오랫동안 투자를 해오셨지만, 차트 분석이 여전히 어렵게 느껴지시나요? 복잡해 보이는 주식 차트, 하지만 기본적인 용어만 알아도 투자 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오늘 블로그에서는 주식 투자자들이 꼭 알아야 할 차트 용어들을 쉽고 자세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기본 중의 기본! 캔들, 거래량, 이동평균선

  • 캔들(Candle): 캔들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 변동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막대 모양의 그래프입니다. 캔들의 몸통은 시가와 종가의 차이를, 꼬리는 고가와 저가를 나타냅니다. 캔들의 색깔(양봉: 빨간색/흰색, 음봉: 파란색/검은색)을 통해 주가가 상승했는지 하락했는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거래량(Volume): 거래량은 특정 기간 동안 거래된 주식의 수량을 의미합니다. 거래량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많은 투자자들이 해당 주식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거래량은 주가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됩니다.
  • 이동평균선(Moving Average): 이동평균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선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추세를 파악하고 매수/매도 시점을 결정하는 데 유용합니다. 일반적으로 단기 이동평균선(5일, 20일)은 단기적인 주가 흐름을, 장기 이동평균선(60일, 120일)은 장기적인 주가 흐름을 보여줍니다.

 

2. 추세 파악의 핵심!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

  • 추세선(Trend Line): 추세선은 주가의 고점이나 저점을 연결하여 주가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선입니다. 상승 추세선은 저점을 연결하고, 하락 추세선은 고점을 연결합니다. 추세선을 통해 주가의 상승 또는 하락 추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지지선(Support Line): 지지선은 주가가 하락할 때 더 이상 하락하지 않고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대입니다. 지지선은 매수 시점을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 저항선(Resistance Line): 저항선은 주가가 상승할 때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격대입니다. 저항선은 매도 시점을 결정하는 데 활용됩니다.

 

반응형

 

3. 매매 타이밍 포착! 골든크로스, 데드크로스, 쌍봉, 쌍바닥

  • 골든크로스(Golden Cross): 골든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는 현상입니다. 골든크로스는 상승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내며, 매수 신호로 해석됩니다.
  • 데드크로스(Dead Cross): 데드크로스는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하는 현상입니다. 데드크로스는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내며, 매도 신호로 해석됩니다.
  • 쌍봉(Double Top): 쌍봉은 주가가 두 번의 고점을 형성하고 하락하는 패턴입니다. 쌍봉은 하락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 쌍바닥(Double Bottom): 쌍바닥은 주가가 두 번의 저점을 형성하고 상승하는 패턴입니다. 쌍바닥은 상승 추세로 전환될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4. 똑똑한 투자를 위한 보조지표! MACD, RSI, 볼린저 밴드

  • MACD(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MACD는 두 개의 이동평균선의 차이를 이용하여 추세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MACD는 매수/매도 시점을 결정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 RSI(Relative Strength Index): RSI는 주가의 상승폭과 하락폭을 비교하여 과매수 또는 과매도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RSI는 주가가 과도하게 상승했는지 또는 하락했는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 볼린저 밴드는 이동평균선을 중심으로 일정 표준편차 범위 내에서 주가의 변동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볼린저 밴드는 주가의 변동성이 큰 구간과 작은 구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5. 투자 필수 용어! 호가창, 상한가/하한가, 액면분할, 유상증자/무상증자

  • 호가창: 호가창은 주식의 매수, 매도 가격과 수량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호가창을 통해 시장 참여자들의 매수/매도 심리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상한가/하한가: 상한가는 하루 동안 주가가 상승할 수 있는 최대 가격 제한폭이고, 하한가는 하루 동안 주가가 하락할 수 있는 최대 가격 제한폭입니다.
  • 액면분할: 액면분할은 주식의 액면가를 낮추고 발행 주식 수를 늘리는 것입니다. 액면분할은 주식의 유동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 유상증자/무상증자: 유상증자는 주주들에게 돈을 받고 주식을 더 발행하는 것이고, 무상증자는 돈을 받지 않고 주식을 더 발행하는 것입니다.

 

마무리
오늘 소개해드린 용어들 외에도 다양한 주식 차트 용어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용어들을 숙지하고 차트를 꾸준히 분석하는 연습을 한다면, 주식 투자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똑똑한 금융 생활 가이드: 대한민국 금융상품 완전 정복!

재테크소스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복잡하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금융상품에 대해 쉽고 재미있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저와 함께 똑똑한 금융 생활을 위한 첫걸음을 내딛어 볼까요?

1. 기본 중의 기본! 예금 & 적금

  • 안정적인 자산 관리의 핵심, 예금:
    • 예금은 은행에 돈을 맡기고 이자를 받는 가장 기본적인 금융 상품이에요.
    • 보통예금: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해서 편리하지만, 이자는 낮은 편이죠.
    • 정기예금: 일정 기간 동안 돈을 묶어두고 더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어요.
    • MMDA: 수시입출금식 예금으로, 금리 변동에 따라 이자가 달라진답니다.
  • 티끌 모아 태산! 적금:
    • 적금은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여 목돈을 마련하는 데 효과적인 상품이에요.
    • 정기적금: 매달 같은 금액을 꾸준히 납입하는 방식이에요.
    • 자유적금: 납입 금액과 시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서 유연성이 높아요.

2. 똑똑한 투자, 펀드

  • 전문가의 손길로 수익을! 펀드:
    • 펀드는 여러 투자자의 돈을 모아 전문가가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고 수익을 나누는 상품이에요.
    • 주식형 펀드: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원금 손실 위험도 크답니다.
    • 채권형 펀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분들에게 적합해요.
    • 혼합형 펀드: 주식과 채권에 분산 투자하여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해요.

3. 미래를 위한 든든한 준비, 보험

  • 예측 불가능한 위험에 대비! 보험:
    • 보험은 미래의 위험에 대비하여 보험료를 납입하고, 사고 발생 시 보험금을 받는 상품이에요.
    • 생명보험: 사망, 질병 등에 대비하여 가족의 생활을 보호해요.
    • 손해보험: 화재, 자동차 사고 등 재산상의 손해를 보장해요.
    • 실손보험: 질병, 상해로 인한 의료비를 보장하여 의료비 부담을 줄여줘요.
반응형

 

4. 고수익을 향한 도전, 투자 상품

  • 직접 투자의 매력! 투자 상품:
    • 주식, 채권, 부동산 등에 직접 투자하여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에요.
    • 주식: 기업의 성장 가능성에 투자하여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 채권: 정부나 기업에 돈을 빌려주고 이자를 받는 안정적인 투자 방식이에요.
    • 부동산: 장기적인 관점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요.

5. 똑똑한 금융 생활을 위한 꿀팁!

  •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하고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어요.
  • 연금저축: 노후를 위한 필수 준비! 세액공제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 청약저축: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기 위한 첫걸음!

6. 금융상품 선택 시 주의사항

  •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선택하세요.
  • 수익률, 수수료, 세금 등을 꼼꼼히 비교하고 분석하세요.
  • 금융 전문가의 상담을 통해 맞춤형 상품을 추천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7. 금융상품 정보,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

  •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공시: 다양한 금융상품을 한눈에 비교할 수 있어요.
  • 각 금융사 홈페이지: 자세한 상품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 금융 관련 앱: 편리하게 금융상품 정보를 비교하고 추천받을 수 있어요.

오늘 저와 함께 알아본 금융상품 정보가 여러분의 똑똑한 금융 생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산업군별 밸류업지수 편입 종목

재테크소스
반응형

산업군별 코리아 밸류업 지수 편입 종목

 

2024년 9월 24일 한국거래소에서 코리아밸류업 지수의 구성 종목을 발표하였는데요

산업군별로 어떤 종목들이 선정 되었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지수에 편입된 종목들의 주가는 어떻게 움직일지 매우 궁금하네요

 

여러분들도 아래의 리스트를 참고 하셔서 지켜보시면 재밌을꺼 같습니다.^^

■ 정보기술( 24 )

1 A005930  삼성전자  유가
2 A000660  SK하이닉스 유가
3 A022100 포스코DX 유가
4 A042700 한미반도체 유가
5 A011070 LG이노텍 유가
6 A403870 HPSP 코스닥
7 A058470 리노공업 코스닥
8 A000990 DB하이텍 유가 밸류업공시
9 A007660 이수페타시스 유가
10 A108320 LX세미콘 유가
11 A036930 주성엔지니어링 코스닥
12 A064760 티씨케이 코스닥
13 A140860 파크시스템스 코스닥
14 A222800 심텍 코스닥
15 A166090 하나머티리얼즈 코스닥
16 A195870 해성디에스 유가
17 A192650 드림텍 유가
18 A131970 두산테스나 코스닥
19 A074600 원익QnC 코스닥
20 A090460 비에이치 유가
21 A348210 넥스틴 코스닥
22 A272290 이녹스첨단소재 코스닥
23 A319660 피에스케이 코스닥
24 A183300 코미코 코스닥

 

■ 산업재( 10 )

1 A011200 HMM 유가
2 A047050 포스코인터내셔널 유가
3 A003490 대한항공 유가
4 A012450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가
5 A086280 현대글로비스 유가
6 A241560 두산밥캣 유가
7 A047810 한국항공우주 유가
8 A180640 한진칼 유가
9 A267260 HD현대일렉트릭 유가
10 A028670 팬오션 유가
11 A079550 LIG넥스원 유가
12 A012750 에스원 유가
13 A042670 HD현대인프라코어 유가
14 A017800 현대엘리베이 유가
15 A051600 한전KPS 유가
16 A056190 에스에프에이 코스닥
17 A383310 에코프로에이치엔 코스닥
18 A372170 윤성에프앤씨 코스닥
19 A009450 경동나비엔 유가
20 A030190 NICE평가정보

 

 

■ 헬스케어( 12 )

1 A068270 셀트리온 유가
2 A128940 한미약품 유가
3 A214150 클래시스 코스닥
4 A214370 케어젠 코스닥
5 A086900 메디톡스 코스닥
6 A145720 덴티움 유가
7 A185750 종근당 유가
8 A214450 파마리서치 코스닥
9 A096530 씨젠 코스닥
10 A001060 JW중외제약 유가
11 A086450 동국제약 코스닥
12 A290650 엘앤씨바이오 코스닥

 

반응형

■ 자유소비재( 11 )

1 A005380 현대차* 유가 밸류업공시
2 A000270 기아 유가
3 A383220 F&F 유가
4 A021240 코웨이 유가
5 A081660 휠라홀딩스 유가
6 A005850 에스엘 유가
7 A105630 한세실업 유가
8 A215200 메가스터디교육 코스닥
9 A215000 골프존 코스닥
10 A381970 케이카 유가
11 A284740 쿠쿠홈시스 유가

 

 

■ 금융 / 부동산( 10 )

1 A055550 신한지주* 유가 밸류업공시
2 A000810 삼성화재 유가
3 A138040 메리츠금융지주 유가 밸류업공시
4 A316140 우리금융지주* 유가 밸류업공시
5 A005830 DB손해보험 유가
6 A006800 미래에셋증권* 유가 밸류업공시
7 A071050 한국금융지주 유가
8 A001450 현대해상 유가
9 A039490 키움증권 유가 밸류업공시
10 A032190 다우데이타 코스닥

 

 

■ 소재( 9 )

1 A010130 고려아연 유가
2 A014680 한솔케미칼 유가
3 A357780 솔브레인 코스닥
4 A005290 동진쎄미켐 코스닥
5 A298050 효성첨단소재 유가
6 A121600 나노신소재 코스닥
7 A298020 효성티앤씨 유가
8 A014820 동원시스템즈 유가
9 A069260 TKG휴켐스 유가

 

 

■ 필수소비재( 8 )

1 A033780 KT&G 유가
2 A271560 오리온 유가
3 A282330 BGF리테일 유가
4 A026960 동서 유가
5 A007310 오뚜기 유가
6 A003230 삼양식품 유가
7 A005300 롯데칠성 유가
8 A200130 콜마비앤에이치 코스

 

 

■ 커뮤니케이션서비스( 5 )

1 A036570 엔씨소프트 유가
2 A035900 JYP Ent. 코스닥
3 A041510 에스엠 코스닥
4 A030000 제일기획 유가
5 A067160 SOOP 코스닥

 

 

■ 에너지( 1 )

1 A010950 S-Oil 유가

반응형

강북구 아파트 등 부동산 용도별 대법원 경매 매각가율(가격) 통계-23년 최근 3개월(11월 03일 기준)

재테크소스
반응형
더보기

2023년 11월 03일 기준 대법원 부동산 경매 매각가율 통계

2023년 11월03일 기준 강북구 부동산 용도별 대법원 경매 매각율과 매각가율 막대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11월03일 기준 강북구 부동산 용도별 대법원 경매 매각율과 매각가율 막대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최근 아파트 등 서울 부동산 가격을 예측해 보기 위해서 대법원경매 매각가율을 살펴 보고 있어요.

 

매각가율이란 감정가 대비 낙찰가격을 퍼센테이지로 표시하는 지표인데 낙찰가율이 높을 수록 현재 대상 부동산의 인기를 추정해 볼 수 있고 시장가의 앞으로의 변화를 예상해볼 수 있어서 관심 있게 보고 있는데 오늘은 세번째 지역으로 강북구 통계를 살펴 보려고 합니다.

 

2023년 11월03일 기준 강북구 부동산 용도별 대법원 경매 매각통계표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11월03일 기준 강북구 부동산 용도별 대법원 경매 매각통계표 - 출처 : 대법원경매

 

 

강북구의 최근 3개월 부동산 대법원 경매 매각 통계를 보면 아파트가 전체 27건의 경매가 진행 되었고 그 중 8건이 낙찰 되었네요.

 

아파트 매각가율이 77.2%을 기록 하고 있는데 시장이 좋을 때 감정가의 90% 정도에서 가격이 형성 되었던 걸로 기억하고 있고 강남구의 경우는 지금도 90%를 상회 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 본다면 강북구의 아파트 가격은 하락하고 있을 확률이 크다고 볼 수 있겠네요.

 

저 같이 아직 집을 마련하지 못한 분들이라면 반가운 지표가 될 수 있을 텐데 최근 3년내에 아파트를 매입한 분들에게는 별로 좋지은 상황인거 같습니다.

 

이지역은 연립과 다세대 매각가율이 80%로 큰차이는 아니지만 아파트 보다는 살짝 높은 매각가율을 기록 하고 있는데 큰 의미는 없어 보이네요.

 

 

2023년 11월03일 기준 강북구 부동산 용도별 대법원 경매 매각율과 매각가율 선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11월03일 기준 강북구 부동산 용도별 대법원 경매 매각율과 매각가율 선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3개월 동안의 아파트 등 매각 가격 변동 추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선그래프로 살펴보면 큰 변동성을 보이고 있지는 않네요.

 

파란색으로 표지 된 선이 아파트 매각가율을 표시한 그래프로 9월에 80%를 살짝 넘겼다가 다시 70%대로 복귀하고 있는데 큰 차이는 없어 보네요.

 

전체적으로 부동산의 가격이 하락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데 높은 금리가 계속 된다면 아파트 가격의 하락은 당분간은 계속 될꺼 같은데 아마도 재건축 대상에서 빠진 구축 아파트들이 더 많은 하락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이 전글 더 보기

강남구 편

강동구 편

서초구 편

 

반응형

서초구 2023년 최근 3개월(11월 03일 기준) 아파트 등 용도별 경매 매각가율 변화 추이 분석

재테크소스
반응형

2023년 11월 03일 기준 서초구 아파트 외 부동산 경매 매각가율 변화 통계 분석

2023년 11월 03일 기준 최근 3개원 서초구 부동산 경매 매각가율 막대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11월 03일 기준 최근 3개원 서초구 부동산 경매 매각가율 막대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오늘은 서초구의 최근 3개월 용도별 부동산 경매 매각가율 통계를 한번 살펴 보려고 합니다.

 

최근 3년내에 많은 가격 상승이 있었던 지역이라 경매가가 어떤 추세를 보이는지 많이 궁금했습니다.

 

 

2023년 11월 03일 기준 최근 3개원 서초구 용도별 부동산 경매 매각가 통계표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11월 03일 기준 최근 3개원 서초구 용도별 부동산 경매 매각가 통계표  - 출처 : 대법원경매

 

서초구의 용도별 경매 현황을 보면 아파트가 33건인데 생각 보다 많은 건수 인거 같은데요, 이중 11건이 낙찰이 되었고 감정가의 89.3%로 매각가율을 기록하여 90%를 넘기지 못한 것도 주목 해볼만 한 데이터인거 같네요.

 

반면 상가부분은 109.5%로 감정가 보다 높은 가격으로 낙찰이 되어 주택 용도 보다는 근생용도의 부동산이 더 많은 경쟁이 있었던거 같아요.

 

또 특이한 점은 강남3구에서는 찾아 보기 힘든 임야와 전답도 경매가 진행 되었네요.

 

한건의 낙찰사례를 기록한 임야의 경우 낙찰가가 158.4%로 상당히 높은 가격을 기록해 어디에 있는 물건인지 궁금해 지는 부분이네요.

 

 

2023년 11월 03일 기준 최근 3개원 서초구 용도별 부동산 경매 매각가 통계표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11월 03일 기준 최근 3개원 서초구 용도별 부동산 경매 매각가 통계 선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11월 03일 기준 최근 3개원 서초구 용도별 부동산 경매 매각가 선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낙찰가격의 변화 추이를 그래프로 보면 아파트는 지난 8월에는 90%를 넘겼던 것에 비해 9월과 10월 그리고 11월까지 조금씩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네요.

 

과거 아파트 경매의 경우 90% 아래로 낙찰이 되는 경우가 많지 않었던거 같은데 서초구의 경우는 경매 매각가가 확연하게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게 놀라운거 같아요.

 

근생 물건의 경우는 변동성이 컸던거 같은데 이는 입지조건에 따라 입찰자들의 선호도가 많이 차이가 있는거 같네요.

 

서초구는 강남3구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지역인데 강남불패라는 말이 무색하게 아파트 매각가율이 많이 낮아 진 것을 보면 매매가격도 조금씩 조정을 받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반응형

2023년 08월01일 ~ 11월 03일 강동구 경매 낙찰가율 통계로 본 부동산 가격 추이 분석

재테크소스
반응형

2023년 11월 3일 기준 강동구 부동산 경매 낙찰가 추이 분석

2023년 09월 01일 ~ 11월 03일 강동구 매각율과 매각가율 막대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08월 01일 ~ 11월 03일 강동구 매각율과 매각가율 막대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강동구는 강남,서초구,송파구에 이어 강남 4구로 불리는 지역으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곳인데요. 오늘은 이 지역의 부동산 경매 통계를 통해 부동산의 가격 추이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살펴 보도록 할께요.

 

2023년 08월 01일 ~ 11월 03일 강동구 용도별 경매 매각 통계표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08월 01일 ~ 11월 03일 강동구 용도별 경매 매각 통계표 - 출처 : 대법원경매

 

대법원 경매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가장 최근 통계는 11월 03일까지의 통계인데 8월 부터 현재까지 나와 있는 통계를 살펴 보면 3개월간 총 72건의 경매가 진행 되었고 그중 14건이 매각 되어 매각율은 19.4%를 기록하고 있네요.

 

이렇게 진행된 매각가는 감정가 대비 77.9%로 매각이 되어 전 시간에 살펴 보았던 강남구에 비해 더 많이 감가된 가격으로 낙찰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구체적으로는 아파트가 80.4%, 단독 다가구가 92.1%, 연립 다세대가 70.2%, 상가 오피스텔 근린시설이 70.7%로 매각가율을 기록 하였는데 특이하게 단독,다가구가 아파트 보다 더 높은 매각가율을 기록 하고 있네요.

 

앞선 글에서도 말씀 드렸드시 매각가율은 어느 정도 시세의 흐름을 반영 하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 의아한 결과 값인거 같네요.

 

 

2023년 08월 01일 ~ 11월 03일 강동구 매각율과 매각가율 선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2023년 08월 01일 ~ 11월 03일 강동구 매각율과 매각가율 선그래프 - 출처 : 대법원경매

 

월별 변화의 추이를 보면 아파트는 8월에 비해 9월에 낙찰가가 높아진 것을 볼 수 있는데 70%대에서 80% 대로 상승한 것으로 보이는데 10월에는 매각 사례가 없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지는 좀 더 지켜 봐야 할꺼 같네요.

 

연립 다세대 주택과 근린시설의 경우는 매각가율이 20% 내외로 크게 떨어지는 경향이 있어 주택 시장에 비해 더 많은 감가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강남구 관련 글 바로 보기

반응형

2023년 9월부터 11월 현재까지 강남지역 아파트 등 부동산 경매 낙찰 가격 추이 통계

재테크소스
반응형

52023년 9월 부터 11월 현재 강남지역 부동산 경매 낙찰가격 추이 

2023년 9월 ~ 11월 현재까지 강남지역 매각율과 매각가율 막대그래프(출처 : 대법원경매정보)
2023년 9월 ~ 11월 현재까지 강남지역 매각율과 매각가율 막대그래프(출처 : 대법원경매정보)

 

 

최근 부동산 담보대출 이자율이 높아져 아파트 등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분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는거 같아요.

 

영끌 투자로 견디지 못 하고 결국 경매로 물건들이 나오기도 하는데 낙찰가 추이를 분석해 보면 향후 부동산 가격이 어떻게 변화할지 조금은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이 되어서 2023년 9월 부터 11월 경매 통계자료를 정리해 봤어요.

 

일단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각 구별로 하나씩 정리해 올려 보려고 하는데 먼저 강남지역부터 시작해 보려고 합니다.

 

 

2023년 9월 ~ 11월 현재까지 강남지역 매각율과 매각가율 표(출처 : 대법원경매정보)
2023년 9월 ~ 11월 현재까지 강남지역 매각율과 매각가율 표(출처 : 대법원경매정보)

 

 

가장 최근까지의 정보는 11월 3일까지의 통계로 강남구에서는 전체 51건의 경매가 있어고 그 중 13건이 낙찰 되어서 매각율은 25.5% 네요.

 

가장 많은 관심을 끌고 있는 아파트의 경우에는 26건으로 전체 경매 물건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네요.

 

26건중에 낙찰이 된 물건은 8건으로 30.8%의 낙찰율을 기록 하고 있어요.

 

가장 중요한건 낙찰가율인데 이는 감정평가액 대시 낙찰가격의 비율이에요.

 

낙찰가율이 높다는 것은 시세가 많이 빠지지 않았다는걸 의미 하는데 강남지역 아파트의 경우 낙찰가율이 92.9%를 기록하고 있네요.

 

 

2023년 9월 ~ 11월 현재까지 강남지역 매각율과 매각가율 선대그래프(출처 : 대법원경매정보)
2023년 9월 ~ 11월 현재까지 강남지역 매각율과 매각가율 선대그래프(출처 : 대법원경매정보)

 

 

변화의 추이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선 그래프로 보면 9월에 비해 10월 낙찰가율이 조금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네요.

 

11월 3일 기준의 통계기 때문에 11월은 의미가 없어요.

 

이렇게 봤을 때 강남지역 아파트는 아직까지 하락의 추세는 아닌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오늘은 강남지역 부동산 경매 통계자료를 가지고 나름의 간단한 분석을 해 보았는데 이렇게 통계로 보니 조금은 객관적인 시선으로 부동산 가격 추이를 볼 수 있는거 같네요.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기본은 쌀 때 사서 비쌀 때 파는 것이 진리인거 같은데요. 막연한 느낌으로 투자 하기 보다는 이렇게 데이터를 이용해 분석해 보는 것이 실패확률을 낮추는 방법인거 같네요.^^

반응형

생활속 전기 아끼는 소소한 Tip

재테크소스
반응형

부자가 된 사람들을 보면 아주 작은 것도 아끼는 습관을 가지고 있는데요

정말 작은 부분이지만 조금씩 전기를 아낄 수 있는 상식 몇가지 알려드릴께요^^

 

 

이것은 귀 건강에도 영향이 있는데요.

TV를 시청할 때 소리를 너무 크게 놓으면 고막에도 안좋지만 전기도 많이 들어간요

그리고 전원을 끄고 켤때 리모콘 대신 본체의 스위치를 이용하면 운동도 되고 전기도 아낄 수 있어요^^

쓰지 않는 가전제품의 플로그가 꼽혀 있으면 조금씩 전기가 돌아가는데요

이것을 대기전력 이라고 해요

전자제품이 빠르게 작동하기 위해서 전기가 도는 거예요

대기전류가 많이 도는 제품들에는 TV셋톱박스, 인터넷 모뎀, 전기밥솥 등이 있어요

외출할 때는 플로그를 뽑아 놓는 센스 잊지 말아요^^

 

두번째는 냉장고에 관한 이야기에요

냉장고는 물건이 많이 들어 있으면 전기를 많이 먹는데요

반대로 너무 비어 있어도 전력을 손해 본다고 해요

60~70%는 채워져 있어야 뱅기가 잘 보존되고 전기도 덜 먹는다고 해요

전기 아끼려고 필요 없는 음식재료를 살 필요는 없는데요

빈통이라도 넣어 두면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냉장고 안의 내용물을 메모해 냉장고 앞에 붙여 두세요

그리고 문을 열기 전에 꺼낼 목록을 확인하면 냉장고 문을 열어 놓는 기간을

줄일 수 있어요

지금까지 생활속에 전기를 아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적어 봤는데요

뭘 저런거까지 아끼나 싶기도 하실텐데요

푼돈이 목돈이 되는 경험을 하게 되면 이렇게 소소하게 아끼 것이 재밌는 놀이가 되는거 같아요 ^^

 

 

반응형

신용카드 포인트 제대로 사용하기

재테크소스
반응형

 

 

우리가 카드를 사용하고 받은 포인트 잘 사용하고 계시나요?

카드포인트가 얼마나 있는지도 잘 몰르는 분들이 많은거 같은데요

포인트는 현금과 같은 거니 결국 손해를 보는 거예요

그래서 오늘은 신용카드 포인트 잘 활용할 수 있는 TIp을 알려드릴께요^^


 

 

우리가 포인트를 사용할 때 상품가격의 일부만 사용하게 되어 있어서 물건값의 일부만 포인트로 결제하게 되어 있었는데요

금융감독원의 표준약관 개정으로 이제는 포인트로 전액 결제할 수 있게 되었어요

아직도 이사실을 모르는 분들이 많은거 같아요

 

 

 

뿐만 아니라 신용카드 회사가 같다면 친구들이나 가족에게 포인트를 선물 할 수 있어서 포인트를 모아 좀더 실용성 있게 사용할 수도 있어요

 

 

 

게다가ATM에서 현금으로 찾을 수도 있고

적금이나 공과금을 납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어요

이쯤되면 포인트가 그냥 현금하고 동일하다는 생각이 드시죠^^

 

 

 

 

내 신용카드 포인트가 어디에 얼마나 있는지 잘 알지 못한다면

여심금융협회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사이트를 이용하면

한번에 조회가 가능합니다

신용카드 포인트는 5년이 지나면 소멸하게 되어 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하고 활용하시기 바래요^^

반응형
>